1장. 빅데이터 시대에 요구되는 분석력이란? 2강. 여러 가지 과제 1) 분석 담당자의 과제 접근 해석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담당자가 빅데이터 분석 기반을 다룰 때는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전과 달리 스스로 지표를 결정해야 하고, SQL을 배워야합니다. 데이터 추출할 때도 필요하며, 배우지 않은 상태에서는 무엇을 집계할 수 있는지 생각할 수 없습니다. 또, SQL을 모르면 리포트를 만들 수 없으며 작성보다 SQL을 사용하면서 겪는 시행착오에 시간이 더 오래 걸리게 됩니다. 그렇다면 BI 도구 (Tableau, Kibana 등)를 사용하면 되지 않을까요? 복잡한 집계와 분석을 하려고 해도 BI 도구로는 만족할 수 없으며, BI 도구에서 사용할 초기 데이터 준비에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또,..
IT취업 동아리에서 SQL관련 스터디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서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이 스터디에서는 '데이터 분석을 위한 SQL 레시피'라는 책으로 공부하려고 합니다. 그럼 1강 요약을 시작하겠습니다! 1장. 빅데이터 시대에 요구되는 분석력이란? 1강. 데이터를 둘러싼 환경의 변화 1) 접근 분석 도구의 등장 분석과 관련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직업이 언제부터 주목 받기 시작했을까요? 책에서는 2005년쯤에 등장한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가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고 합니다. 방문 횟수, 페이지뷰, 유입 키워드, 이탈률, 직귀율처럼 다양한 종류의 지표가 제공되면서 웹에서의 사용자 행동이 서비스에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점점 데이터를 활용하려는 움직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