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

함수 # 함수의 구조 def add(a, b): return a + b 이 함수의 뜻은 이름은 add이고, 입력으로 2개의 값을 받으며 결괏값은 2개의 입력값을 더한 값이다. return은 함수의 결괏값을 돌려주는 명령어이다. 매개변수와 인수 def add (a, b): # a, b는 매개변수 return a + b print(add(5, 7)) # 5, 7는 인수 매개변수란? : 함수에 입력으로 전달된 값을 받는 변수를 의미 인수란? : 함수를 호출할 때 전달하는 입력 값을 의미 입력값과 결괏값에 따른 함수의 형태 # 일반적인 함수의 예 def add(a, b): result = a + b return result >>> a = add(3, 4) >>> print(a) 7 # 입력 값이 없는 함수 de..
if문 조건을 판단하여 해당 조건에 맞는 상황을 수행하는 데 쓰는 것이 if문이다. if문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money = True >>> if money: print("택시를 타고 가라") else: print("걸어 가라") 택시를 타고 가라 참이면 if문 바로 다음 문장들을 수행하고, 조건문이 거짓이면 else문 다음 문장들을 수행하게 된다. else문은 if문 없이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if 조건문: 수행할 문장1 수행할 문장2 if문에서는 들여쓰기가 중요! 너비를 같게 들여써야 한다. 들여쓰기는 공백(space bar), 탭(Tab)이 있는데 하나로 통일해야 한다. 그리고 조건문 다음 (:) 콜론을 꼭 표시해주어야 한다. 비교 연산자 비교 연산자 설명 x < y x가..
이번주의 학습 범위는 기초 중의 기초인 자료형을 끝내보려고 한다. 리스트 리스트의 형태는 a = [1, 2, 3, 4]과 같다. 숫자, 문자열, 숫자 & 문자열, 리스트 자체를 요솟값으로 가진다. # 인덱싱 >>> a = [1, 2, 3, ['a', 'b', 'c']] >>> a[0] 1 >>> a[-1] ['a', 'b', 'c'] >>> a[3] ['a', 'b', 'c'] # 리스트 a에 포함된 ['a', 'b', 'c'] 리스트에서 'a'값을 인덱싱한 방법 >>> a[-1][0] 'a' # 슬라이싱 >>> a = [1, 2, 3, ['a', 'b', 'c'], 4, 5] >>> a[2:5] [3, ['a', 'b', 'c'], 4] >>> a[3][:2] ['a', 'b'] 위의 예시처럼 리스트는..
1. BMI를 구하는 수식을 작성하고 예를 들어 구하시오. BMI 구하는 공식? 몸무게 kg / (키 m * 키 m) >>> weight = float(input("몸무게를 입력하세요:")) >>> height = float(input("키를 입력하세요(m 단위로):")) >>> bmi = weight / height ** 2 >>> print("당신의 BMI 지수는? %.2f 입니다." % (bmi)) 몸무게를 입력하세요: 50.5 키를 입력하세요(m 단위로): 1.65 당신의 BMI 지수는? 18.55 입니다. 2. 자기 이름, 학번, 성별, 취미, 참여중인 스터디에 대한 정보를 my data라는 변수에 지정하여 안에 문자열 형태로 넣고, 함수를 이용하여 문자들 사이에 /를 넣으시오. >>> my_d..
동아리에서 IT스터디로 python을 하게 되었다. 기본기를 다시 제대로 잡겠다는 마인드로 열심히 공부해보려고 한다. 우선 첫 주차에서는 숫자형, 문자열 자료형을 공부하기로 했다. 스터디 당일날 축제 행사로 인해 불참하게 되었지만 해당 단원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 요약과 스터디에서 진행되었던 문제 풀이를 해보려고 한다. 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 인덱싱 = "(무언가를)가리킨다", 슬라이싱 = "(무언가를)잘라낸다"는 의미이다. "파이썬은 0부터 숫자를 센다." >> "I eat %d apples. so I was sick for %s days." % (number, day) 'I eat 5 apples. so I was sick for three days.' 문자열 안에서 숫자를 넣고 싶은 자리에 ..
'코드어스'라는 동아리에서 활동 중이며, 팀원들과 데이터 분석 공부했던 자료 정리한 링크입니다. https://www.notion.so/codeusjourney/5-8-2-e9e04b2cc995492881796736dc126642 [5/8] 데이터 분석 코밋 2팀 A new tool for teams & individuals that blends everyday work apps into one. www.notion.so
· ETC/School
해당 글은 현재 수강중인 수업 내용을 정리한 것을 밝힙니다. 우선 비지도학습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자면 Taget이나 Label이 없는 상태에서 나머지 특성들 가지고 예측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비지도 학습에는 군집화, 차원축소, 시각화가 있습니다. 군집화 같은 경우에는 고객 Segmentation 즉, 고객군별 마케팅 전략으로 사용하거나 이상치를 탐지할 때 사용합니다. 차원축소는 특성의 가짓 수가 굉장히 많을 때(예를 들어 Image Data) 중요한 것들로 줄여나가야 할 때 차원축소 문제라고 합니다. 오늘은 비지도학습 중 군집화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군집화란? 주어진 데이터들을 비슷한 것끼리 나누어 그룹을 만드는 것입니다. 종류 - Linkage Based Data들을 묶어서 묶은 것을 ..
1장. 빅데이터 시대에 요구되는 분석력이란? 2강. 여러 가지 과제 1) 분석 담당자의 과제 접근 해석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담당자가 빅데이터 분석 기반을 다룰 때는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전과 달리 스스로 지표를 결정해야 하고, SQL을 배워야합니다. 데이터 추출할 때도 필요하며, 배우지 않은 상태에서는 무엇을 집계할 수 있는지 생각할 수 없습니다. 또, SQL을 모르면 리포트를 만들 수 없으며 작성보다 SQL을 사용하면서 겪는 시행착오에 시간이 더 오래 걸리게 됩니다. 그렇다면 BI 도구 (Tableau, Kibana 등)를 사용하면 되지 않을까요? 복잡한 집계와 분석을 하려고 해도 BI 도구로는 만족할 수 없으며, BI 도구에서 사용할 초기 데이터 준비에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또,..
IT취업 동아리에서 SQL관련 스터디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서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이 스터디에서는 '데이터 분석을 위한 SQL 레시피'라는 책으로 공부하려고 합니다. 그럼 1강 요약을 시작하겠습니다! 1장. 빅데이터 시대에 요구되는 분석력이란? 1강. 데이터를 둘러싼 환경의 변화 1) 접근 분석 도구의 등장 분석과 관련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직업이 언제부터 주목 받기 시작했을까요? 책에서는 2005년쯤에 등장한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가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고 합니다. 방문 횟수, 페이지뷰, 유입 키워드, 이탈률, 직귀율처럼 다양한 종류의 지표가 제공되면서 웹에서의 사용자 행동이 서비스에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점점 데이터를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 ETC/School
학교에서 배우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축과 활용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합니다. 수업시간에는 Oracle로 SQL을 배우고 있고, 수업시간에 배웠던 것들 위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데이터 타입의 종류 - CHAR(size) size 크기의 고정 길이 문자 데이터 타입입니다. 최대 2,000 바이트, 최소 1바이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char(7)이라고 작성하면 7자리가 와야 합니다. 지정된 길이보다 짧으면 나머지 공간은 공백으로 채워집니다. char(7) 'sql'을 입력하면 'sqlㅇㅇㅇㅇ' 4자리나 공백이 생기게 됩니다. 지정된 길이보다 긴 데이터가 입력되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편차가 심한 데이터 (예를 들면 주소 등)를 입력할 때는 char를 사용하면 저장 공간이 낭비될 수 있으니 varchar를 쓰..
ggong5959
'ETC'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