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Green Swan, Python 기초

함수 # 함수의 구조 def add(a, b): return a + b 이 함수의 뜻은 이름은 add이고, 입력으로 2개의 값을 받으며 결괏값은 2개의 입력값을 더한 값이다. return은 함수의 결괏값을 돌려주는 명령어이다. 매개변수와 인수 def add (a, b): # a, b는 매개변수 return a + b print(add(5, 7)) # 5, 7는 인수 매개변수란? : 함수에 입력으로 전달된 값을 받는 변수를 의미 인수란? : 함수를 호출할 때 전달하는 입력 값을 의미 입력값과 결괏값에 따른 함수의 형태 # 일반적인 함수의 예 def add(a, b): result = a + b return result >>> a = add(3, 4) >>> print(a) 7 # 입력 값이 없는 함수 de..
if문 조건을 판단하여 해당 조건에 맞는 상황을 수행하는 데 쓰는 것이 if문이다. if문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money = True >>> if money: print("택시를 타고 가라") else: print("걸어 가라") 택시를 타고 가라 참이면 if문 바로 다음 문장들을 수행하고, 조건문이 거짓이면 else문 다음 문장들을 수행하게 된다. else문은 if문 없이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if 조건문: 수행할 문장1 수행할 문장2 if문에서는 들여쓰기가 중요! 너비를 같게 들여써야 한다. 들여쓰기는 공백(space bar), 탭(Tab)이 있는데 하나로 통일해야 한다. 그리고 조건문 다음 (:) 콜론을 꼭 표시해주어야 한다. 비교 연산자 비교 연산자 설명 x < y x가..
이번주의 학습 범위는 기초 중의 기초인 자료형을 끝내보려고 한다. 리스트 리스트의 형태는 a = [1, 2, 3, 4]과 같다. 숫자, 문자열, 숫자 & 문자열, 리스트 자체를 요솟값으로 가진다. # 인덱싱 >>> a = [1, 2, 3, ['a', 'b', 'c']] >>> a[0] 1 >>> a[-1] ['a', 'b', 'c'] >>> a[3] ['a', 'b', 'c'] # 리스트 a에 포함된 ['a', 'b', 'c'] 리스트에서 'a'값을 인덱싱한 방법 >>> a[-1][0] 'a' # 슬라이싱 >>> a = [1, 2, 3, ['a', 'b', 'c'], 4, 5] >>> a[2:5] [3, ['a', 'b', 'c'], 4] >>> a[3][:2] ['a', 'b'] 위의 예시처럼 리스트는..
1. BMI를 구하는 수식을 작성하고 예를 들어 구하시오. BMI 구하는 공식? 몸무게 kg / (키 m * 키 m) >>> weight = float(input("몸무게를 입력하세요:")) >>> height = float(input("키를 입력하세요(m 단위로):")) >>> bmi = weight / height ** 2 >>> print("당신의 BMI 지수는? %.2f 입니다." % (bmi)) 몸무게를 입력하세요: 50.5 키를 입력하세요(m 단위로): 1.65 당신의 BMI 지수는? 18.55 입니다. 2. 자기 이름, 학번, 성별, 취미, 참여중인 스터디에 대한 정보를 my data라는 변수에 지정하여 안에 문자열 형태로 넣고, 함수를 이용하여 문자들 사이에 /를 넣으시오. >>> my_d..
동아리에서 IT스터디로 python을 하게 되었다. 기본기를 다시 제대로 잡겠다는 마인드로 열심히 공부해보려고 한다. 우선 첫 주차에서는 숫자형, 문자열 자료형을 공부하기로 했다. 스터디 당일날 축제 행사로 인해 불참하게 되었지만 해당 단원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 요약과 스터디에서 진행되었던 문제 풀이를 해보려고 한다. 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 인덱싱 = "(무언가를)가리킨다", 슬라이싱 = "(무언가를)잘라낸다"는 의미이다. "파이썬은 0부터 숫자를 센다." >> "I eat %d apples. so I was sick for %s days." % (number, day) 'I eat 5 apples. so I was sick for three days.' 문자열 안에서 숫자를 넣고 싶은 자리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