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s://blog.naver.com/suk06068/222156980727
[사회조사분석사 2급 실기/필답형] Chapter 05. 표본추출
63. 표본과 표본추출 - 표본이란 모집단 전체로부터 선택된 일부 - 표본추출이란 모집단으로부터 표본으로 ...
blog.naver.com
63. 표본과 표본추출
- 표본이란 모집단 전체로부터 선택된 일부
- 표본추출이란 모집단으로부터 표본으로 선택되는 과정
64. 모집단이란?
- 연구의 대상이 되는 집단으로 일반적 속성을 가지고 있는 확정된 집합
- 측정이 가능하고, 확률분포를 가진다.
65. 전수조사란?
- 조사대상이라고 생각하는 모든 대상, 모집단 전부를 조사하는 방법
- 비표본오차에 대한 문제가 크다.
예) 인구주택총조사
66. 표본조사의 장단점
- 장점
1) 시간과 비용이 절감
2) 파괴적인 조사에도 이용 가능
3) 비표본오차를 줄여 전수조사보다 정확한 자료의 획득이 가능하다.
4) 많은 조사항목을 포함한 정보의 획득이 가능하다.
- 단점
1) 표본오차가 발생한다.
2) 모집단이 작은 경우 불필요
3) 복잡한 표본설계를 요구하는 경우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67. 표본추출과정
모집단의 선정 -> 표본추출틀 결정 -> 표본추출방법 결정 -> 표본의 크기 결정 -> 표본 추출
68. 표본추출틀
- 표본추출틀: 모집단의 구성요소나 표본추출단위가 수록된 목록
- 표본추출틀 오차: 표본프레임이 모집단 내에 포함될 때, 모집단이 표본프레임 내에 포함될 때, 포함관계에 있지 않고 일부분만 포함될 때
- 오차를 줄이는 방법: 표본 프레임에 맞게 모집단을 재구성, 표본추출틀에서 부적절한 대상을 제외
예) 선거 여론조사 - 전화번호부
69. 표본추출방법 결정
- 확률 표본추출방법: 모집단의 모든 구성요소가 표본으로 선정될 확률이 알려져 있고, 그 확률이 0이 아닌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방법
- 비확률 표본추출방법: 모집단에 대한 정보나 목록이 없을 때, 연구대상이 표본으로 추출될 확률을 모를 때, 시간이나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신속한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 비교
확률 | 비확률 |
무작위 표본추출 | 인위적 표본추출 |
편의가 발생하지 않음 | 편의 발생 |
(장점) 일반화 가능 | (단점) 일반화 어려움 |
(장점) 표본오차의 추정 가능 | (단점) 표본오차의 추정 불가능 |
(단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듦 | (장점)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듦 |
70. 확률 표본추출방법 - 단순무작위 표본추출
- 모집단의 구성요소에 대해 표본으로 선택될 확률을 동등하게 부여하는 방법으로, 모든 표본추출단위는 표본으로 선택될 기회가 동등하게 부여된다.
- 명확한 목록을 확보해야 한다.
- 각 구성요소에 고유번호를 매길 수 있어야 한다.
- 표본의 크기 결정 후, 무작위로 표본 추출이 가능해야 한다.
- 장점
1) 모집단에 대한 사전지식을 요구하지 않는다.
2) 표본의 선정이 쉽다.
3) 외적 타당도에 대한 통계적 추론이 가능하다.
- 단점
1) 모집단의 완전한 목록을 필요로 한다.
2) 다른 표본추출방법에 비해 표본오차가 크다.
3) 표본추출방법에 여러 단계가 포함되면 비용이 증가한다.
71. 확률 표본추출방법 - 계통표본추출
- 모집단의 구성요소들이 배열된 목록에서 k번째마다 구성요소를 추출해 표본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 과정:
모집단 규모를 파악 -> 표본 크기 결정 -> 모집단을 형성하는 구성단위의 순서 및 배열 파악 -> 무작위로 선정된 k번째마다 표본 추출
예) 출구조사
- 장점
1) 표본의 선정이 쉽다.
2) 모집단이 큰 경우에도 동등하게 표본을 추출하여 대표성을 높인다.
- 단점
1) 모집단의 목록을 필요로 한다.
2) k번째마다 조사단위 사이의 값이 무시된다.
3) 모집단의 배열이 주기성을 갖는 경우 대표성이 매우 떨어진다.
72. 확률 표본추출방법 - 층화표본추출
- 모집단이 일정한 기준에 따라 2개 이상의 층으로 구분될 때, 각 층마다 단순무작위추출을 적용하여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
- 표본추출단위는 반드시 하나의 층에 소속되어야 한다.
- 장점
1) 중요 집단은 빼놓지 않고 표본에 포함할 수 있다.
2) 표본오차가 작다.
3) 동질적 대상의 표본을 줄이고, 이질적인 층의 표본을 늘려 대표성을 확보한다.
- 단점
1) 층별로 응답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2) 모집단에 대한 지식을 필요로 한다.
3) 이질적인 층을 구분할 수 있는 목록이 필요하고, 없는 경우 목록 작성 시에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73. 확률 표본추출방법 - 집락표본추출
- 모집단을 이질적인 구성요소로 표함하는 여러 개의 집락을 구분하고, 구분된 집락을 표본추출단위로 하여 무작위로 몇 개의 집락 표본을 추출하고, 추출된 집락을 전수조사하거나 단순무작위표본 추출하는 방법
- 장점
1) 중요 집단은 빼놓지 않고 표본에 포함할 수 있다.
2) 표본오차가 작다.
3) 동질적 대상의 표본을 줄이고, 이질적인 층의 표본을 늘려 대표성을 확보한다.
- 단점
1) 층별로 응답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2) 모집단에 대한 지식을 필요로 한다.
3) 이질적인 층을 구분할 수 잇는 목록이 필요하고, 없는 경우 목록 작성 시에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73. 확률 표본추출방법 - 집락표본추출
- 모집단을 이질적인 구성요소로 표함하는 여러 개의 집락을 구분하고, 구분된 집락을 표본추출단위로 하여 무작위로 몇 개의 집락 표본을 추출하고, 추출된 집락을 전수조사 하거나 단순무작위표본 추출하는 방법
- 장점
1) 모집단의 일부만 고려 가능
2) 광범위한 모집단에 적용 가능
3) 비용과 시간 절감
4) 집락의 특성과 모집단의 특성 비교 가능
- 단점
1) 표본오차가 커질 수 있다.
2) 각 집락의 이질성 확보를 위한 기준 설정이 어렵다.
74. 층화표본추출 vs 집락표본추출
- 공통점: 확률 표본추출방법이다, 모집단을 하위집단으로 구분한다.
- 차이점:
층화표본추출의 경우, 집단 내는 동질적이고, 부분집단(집단 간)은 이질적이다.
집락표본추출의 경우, 집단 내는 이질적이고, 부분집단(집단 간)은 동질적이다.
75. 비확률 표본추출방법 - 편의표본추출
- 연구자의 편의대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
- 장점: 시간과 비용이 절약
- 단점: 표본이 편향되기 쉬움
76. 비확률 표본추출방법 - 판단표본추출
- 연구자가 특정 목적에 맞춰 편중된 표본 추출
- 장점: 비용이 적게 든다, 표본 추출에 용이하다.
- 단점: 모집단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요구한다, 일반화가 어렵다, 표본오차 추정이 불가능
77. 비확률 표본추출방법 - 할당표본추출
- 모집단의 특성을 고려해 층화집단을 선정하고 층화집단별로 구성원 수에 비례하게 표본 크기를 할당하는 방법
예) 여론조사
- 장점
1) 시간과 비용 절감
2) 각 집단을 적절히 대표하는 층화의 효과가 있다.
- 단점
1) 일반화가 어렵다.
2) 외생변수 통제가 어렵다.
3) 오차 발생 가능성이 높다.
78. 비확률 표본추출방법 - 눈덩이표본추출
- 연구자가 임의로 선정한 표본을 누적해 확대하는 방법으로 표본틀이 없을 때 유용하다.
- 장점: 시간과 비용 절감
- 단점: 일반화하기 어렵다
예) 미성년자 성매매에 대한 연구 - (이유) 미성년자 성매매 경험이 있는 사람은 밝히기를 꺼려하기에 표본추출틀 확보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79. 표본의 크기 결정
- 고려사항
1) 모집단의 동질성 정도
2) 허용오차의 크기
3) 통계분석 기법
4) 분석범주 및 변수의 수
5) 소요되는 비용, 시간, 인력
'Certificate > 사회조사분석사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기_필답형] Ch 06. 설문지 작성과 자료조사 (0) | 2022.10.12 |
---|---|
[실기_필답형] Ch 04. 조사설계 (1) | 2022.10.11 |
[실기_필답형] Ch 03. 측정 (1) | 2022.10.11 |
[실기_필답형] Ch 02. 연구문제와 모형 (0) | 2022.10.11 |
[실기_필답형] Ch 01. 과학적 연구방법과 조사연구 (0) | 2022.10.11 |